Café 7 YAD
F&B / 2024 / Seoul, Korea

용도
위치
분야
면적
의뢰
기간
디자인
촬영
카페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
공간디자인
306.9m2 / 93py
개인
2011.11.-12.
홍승영, 박정은
홍기웅
Arcadia, 아르카디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자연 그대로의 삶을 살 수 있는 목가적 이상향의 장소를 뜻한다. 오늘 날에는 유토피아, 이상향의 자연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듯 오래 전부터 우리의 이상향 속에는 자연이 등장한다.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자연과 가까이 할 때 충만하고 풍요로움을 느끼는 경험은 누구에게나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동탄 신도시를 가로지르는 하천, 신리천을 앞마당처럼 품고 있는 Café 7 YAD는 그 자체로 아르카디아를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사이트의 입지는 일요일을 나타내는 Day 7의 의미를 담아 7일의 일요일 같은 휴식의 시간을 주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뜻과 만나 자연과 함께하는 휴식의 공간이 되었다. Café 7 YAD는 카페가 즐비한 거리와 신리천이라는 산책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도시와도 가깝고 자연과도 가까운 이중성을 띄고 있다. 우리는 온전한 휴식의 공간을 위해 이러한 사이트의 특성과 공간을 긴밀하게 연결 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는 ‘자연스러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공간은 크게 지상 1층과 지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지상 층은 천변 산책로와 접하고 있어 그 자체로 자연을 유입시키고 있는 반면, 지하 층은 상부의 작은 썬큰만이 자연을 받아들이고 있는 대조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도심 속 자연이라는 사이트가 가진 이중성과 같은 맥락을 띄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우리로 하여금 두개의 층에서 각기 다른 ‘자연스러움’에 대한 해석을 가능케 하였다. 첫번째는 실재하는 자연에서 오는 ‘자연스러움’이다. 1층은 산책로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개방적인 공간으로 사이트에 펼쳐진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이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Use
Location

Category
Area
Client
Period
Design

Photography
Cafe
Geumhodong, Seongdonggu, 
Seoul
Interior Design
306.9m2 / 93py
Individual
2011.11.-12.
Hong Seungyoung
Park Jeongeun
Hong Kiwoong
Arcadia, an idealistic pastoral space from ancient Greek myths where people can relish the beauty of nature, now refers to Utopia or the nature itself. Nature has been the subject of desire as far as history could track back and even now that we live in a digital-ruled world, nature and the fullness it gives to people’s lives linger. Located in Dongtan, in Korea, where Shin-li stream flows, Café 7 yad aims to project the spirit of Arcadia.

The name itself also came from the combination of letters “Day 7”, Sabbath, the last day of the week when God rests. It aims to present its visitors a place to relax. There are a street crowded by cafés and the trail where people come to stroll near Café 7 yad. This duality is one of the biggest features of the site. Design unit SUBTEXT tried to utilize some features from the site and to pursue nature within the space design. Café is categoriz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floor and the basement floor. The first floor was inspired by the original site. SUBTEXT went on to enhance features of the original site and created a space that embraces nature fully. On the contrary, the basement floor is selective when letting the nature in.

A void ceiling in the sunken is the only doorway for nature to come into the basement. These contrasting features of the space offer different ways of seeing nature.SUBTEXT first saw nature from the way it is. With an open space and a trail road view, visitors can intuitively adopt nature.
거실 Living Room
>
서재 Study Room
(01) 입구 Entrance
(02) 지붕구조 Ceiling Structure
(03) 주방 Kitchen

→ Related Press
©2024 studio molae+82 02 743 8827 / contact@studiomolae.kr
3F, 267, Yulgokro, Jongnogu, Seoul, Korea